카테고리 없음

빙 웹마스터 도구 가입하기

타일가이드 2014. 9. 2. 18:02

빙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야후가 합힘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음.. 도대체 어떤 경로로 들어오는지는 ^^;; 아직 제가 블로그 마케팅 부분에 고수가 아닌지라..ㅎㅎ

그래도 한 곳이라도 더 검색이 되서 들어와 준다면? 좋은거 아닌가 싶습니다..ㅎ

 

빙웹마스터 도구 가입 방법은 전에 쓴 구글 웹마스터도구 가입 방법과 비슷하답니다

 

[ 구글 웹마스터 도구 가입 하기 ]

 

우선 빙 웹마스터도구를 검색 합니다..

 

 

 

 

하하.. 다음에서 제 글이 더 검색이 되지만.. 이놈에 버릇이 꼭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게 하네요..

검색결과에 "Bing 웹 마스터 도구" 라고 나오죠? 접속해 주세요~

 

 

 

 

참 심플합니다. ^^;;

앞으로는 거의 모든 사이트들이 이렇게 심플해지려 하지 않나 싶습니다.

 

심플함의 대명사는 아무래도 구글 첫페이지겠지만.. 빙도 만만치는 않답니다.

그리고 네이버 검색결과 플랫폼도 심플하게 바뀐거 아시죠?

얼마전에 티스토리도 완전 심플하게 바꼈구요~~  이 정도면 앞으로 대세가 심플이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요? ^^;

 

어쨌든 사설은 접고 회원 가입을 해야겠죠..? 뭐 이미 회원이신분들은 로그인하면 되고요..

제 경우는 Microsoft 계정이 있어서 그걸로 사용한 기억이 있습니다..

가입한 지가 오랜지라..^^;;

 

음.. 잠깐! stop..

회원 가입을 하기 전에 의욕을 높히기 위해 빙 웹마스터 도구 로그인 화면 하단 글을 볼까요?

 

 

 

 

트래픽을 높일 수 있고.. 내 사이트에 방문한 이유를 알려주고..

사이트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확장 영역을 알수 있다..^^ ㅎㅎㅎ

 

정말 의욕이 넘치지 않나요? 이런것들을 해준다니..

하지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좀 어렵답니다. 그냥 등록하고 데이터 보는 수준..

 

나중에 빙 웹마스터도구에 가입하고 블로그(사이트) 등록하고 나면 뭐라뭐라.. 통계나오고 뭐라고 하는데..

이걸 알아먹어야.. 위와 같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건데.. 그 부분에서 일반인들은 말이 이해가안간답니다.^^;;

저도 계속 보고 있고.. 뭔 오류가 있다고는 하는데.. 그 오류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고..

개선사항을 알려주긴 하는데 어디서 어떻게 해야 개선사항이 적용되는지.. 모르겠으니 말입니다.^^;;

그래도 앞으로 보다 보면 알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꾸준히 보고있답니다.

 

 

그럼 다시 가던 길 가도록 하죠..

 

 

 

로그인 계정이 있으신 분들은 ①번 로그인을 눌러서 로그인 하시면 된답니다.

 

 

 

계정이 없다면.. ②번에 "Microsoft 계정으로 등록"을 눌러서 계정을 만드셔야 한답니다.

 

 

 

 

이렇게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을 하시면 이제 빙 웹마스터 도구 메인 페이지를 볼 수있답니다.

 

 

 

아... 사이트하고 블로그 정리좀 해야지..^^;; 요즘은 티스토리 블로그만 하고 있는데..ㅎㅎㅎ

나머지는 정리를 좀 해야 겠네요..

 

미리 말씀 드리지만.. 위와 같이 통계가 나오기도 하고.. 사이트 소유권 확인하라고 하기도 한답니다.

저희가 지금 할 것은 사이트 등록을 하고 소유권 확인하고.. 통계 보는데 까지만 할거에요..

그 뒤로 통계를 같고 분석하고 개선하고 수정하는 부분은 저도 지금 연구하는 중이라 ^^;;

좋은 소식 있을때 마다 글 쓰도록 하겠습니다. ㅎ

 

그럼 사이트 등록 하러 가볼까요?

 

 

 

상단에 보면 위 화면과 같이 "사이트 추가"라는 곳이 있답니다.

여기에 여러분에 사이트(블로그)주소를 넣고 "추가" 버튼을 눌러 줍니다.

 

 

 

 

전 지금 친구를 위해서 만들어놓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해 볼까 합니다.

URL에는 티스토리 주소가 들어가 있죠? 그 밑에 "sitemap 추가" 라는 메뉴가 있답니다.

 

 

 

 

자.. 제가 우려했던 부분이 이말 이랍니다.

위에 빙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해서 개선사항이나 오류들을 알수 있다고 했죠?

헌데.. 어디를 어떻게 개성하고 오류를 잡아야 하는지 일반인들이 잘 모른다는거.. 휴..

 

위 화면에 Sitemaps 에 안내 팝업만 봐도 느낌 오지 않나요? ^^;;

"본인의 사이트용 sitemap을 만들고 게시했다면"???? 이게 뭔 말일까요?

 

포털 사이트 블로그나 XE와 같은 웹툴로 제작한 블로그나 사이트는 RSS를 기본으로 제공해주지만..

그냥 HTML 문서를 직접 만든 분이라면.. 여기서 부터..^^;; 제가 예전에 그랬거든요..

뭐.. 요즘은 웹툴들이 좋기 때문에 기본 제공 해주죠..

 

이 사이트맵(sitemaps)라는 것은 말그대로 사이트내 지도라고 보시면 되며...

봇이 들어왔을 때 잘 돌아다니라고 만들어 놓은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그러니 윗 글은 이 맵을 만들어 놓았느냐? 라는 말이며 만들었다면 사이트맵을 추가(사이트맵 URL 입력)해 달라는 말입니다.

 

티스토리의 경우는 주소뒤에 "RSS"만 붙여주면 되기 때문에..

위 경우는 "http://decomania.tistory.com/rss"이렇게 되겠네요..

 

 

 

 

자신의 sitemap 주소를 넣고 하단에 있는 "추가" 버튼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등록을 진행함에 있어서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한다고 합니다.

방법은 세가지 입니다.

 

1. 옵션1 : 웹 서버에서 XML 파일 넣기..

 

이 방법은 FTP에 위 파일을 업로드 해서 확인하는 방법이므로 사이트를 만드신분들은 가능하지만..

저와 같이 티스토리 블로그로 하실 경우는 가능하지 않답니다.

이도 네이버 블로그는 안된답니다. 그나마 티스토리가 그래도 소스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것이죠..

 

 

그렇다면 옵션2을 선택해야 겠죠..^^ 위 코드를 복사해서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가서..

HTML 수정메뉴에서 위 코드를 넣어주기만 하면 된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로 들어갑니다.

좌측에 "HTML/CSS편집"메뉴로 들어갑니다.

 

 

 

티스토리 HTML 수정 부분에 들어가면 위와같이 "<meta..."로 시작하는 코드들이 있답니다.

그 코드들 사이에 넣어주고 하단에 "저장"을 눌러 주시면 된답니다.

 

 

 

그럼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빙웹마스터도구 소유권 확인 코드가 저장 되었으니..

빙 웹마스터 도구 페이지에 가서 소유권 확인을 해야 겠죠?

 

 

 

자~ 이제 끝났어요 ^^

 

 

 

 

이렇게 사이트등록이 되고나면.. 조금 있다가 통계가 보여 진답니다.

제 경우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을 하고 사이트맵으로 RSS 등록을 해준것이죠..

아직 글이 하나도 없어서..

 

 

 

 

피드가 비었습니다... 라고 하네요..^^;;

 

글도 쓰고 .. 오류도 보며 잡아 나가야 겠죠..ㅎㅎ

 

긴 글 읽어주시느라 수고 많았습니다.

그럼 다음에 좋은 소식 있으면 또 글 올리겠습니다. ^^

 

 

 

2014/08/18 -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수 늘리기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기)

 

2014/08/11 - 다음 검색등록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다음 사이트 등록하기

 

2014/08/01 -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영역에 노출 시키는 방법

 

2014/08/01 - 블로그 홍보 방법 및 블로그 방문자수 늘리기 (티스토리 만들기 4탄)

 

2014/07/25 -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3탄 스킨변경하기 (반응형)

 

2014/07/18 -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2탄 (받은 초대장으로 블로그 개설)

 

2014/07/12 - 티스토리 블로그 반응형 스킨 변경 했어요 ^^ 음.. 괜찮네요~ㅎ

 

2014/07/09 -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초대장 받기 및 10장배포)

 

2014/05/02 - 티스토리 블로그 검색엔진 최적화 (제목순서변경)

 

2014/05/06 -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외부블로그 RSS등록 방법

 

2014/04/23 -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 변경 (마크쿼리님의 반응형 스킨)